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트럼프를 지지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의 미래와 한국 기업의 기회

by 스노우볼=돈 2025. 3. 3.

1.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를 지지하게 된 배경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얽혀 있다. 단순히 정치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해관계와 규제 완화, 그리고 미국 내 산업의 방향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 기업 친화적인 정책 기조

트럼프는 2016년 대선에서부터 기업 규제 완화와 감세 정책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머스크는 기본적으로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기업 활동을 장려하는 정책에 긍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었으며, 트럼프가 집권할 경우 테슬라 및 스페이스X와 같은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법인세를 35%에서 21%로 인하했으며, 이는 테슬라뿐만 아니라 미국 내 모든 기업들에게 직접적인 세금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테슬라처럼 연구개발(R&D) 비용이 많이 드는 기업은 감세 혜택을 더욱 크게 볼 수 있었다.

2) 친(親) 미국 제조업 정책

트럼프는 대통령 임기 동안 미국 내 제조업 부활을 강력히 주장했다. 테슬라는 전기차 공장(기가팩토리)을 미국 내 여러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 전기차 생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려는 계획을 세워왔다. 트럼프의 정책이 시행되면 미국 내 제조업 기업들이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고, 테슬라 역시 이런 기조에 힘입어 생산 기반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3) 정부 보조금과 에너지 정책

트럼프 행정부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았지만, 반대로 머스크가 주도하는 스페이스X나 AI(인공지능) 관련 산업에는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머스크는 바이든 행정부가 지나치게 노동조합을 옹호한다고 판단했으며, 테슬라와 노동조합 문제에서 바이든보다 트럼프가 더 유리한 입장이라고 생각했다.

4) 언론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공통된 인식

머스크는 ‘X(구 트위터)’를 인수한 후,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트럼프 역시 빅테크 기업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검열한다고 주장해왔다. 트럼프가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 계정이 정지된 것에 대해 머스크는 비판적이었고, 그를 복귀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며 트럼프와의 관계를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2. 현재 머스크와 트럼프의 관계

머스크와 트럼프의 관계는 현재 ‘이해관계에 따른 밀접한 협력’이라고 볼 수 있다.

1) 트럼프의 대선 재출마와 머스크의 지원

트럼프가 2024년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이후, 머스크는 직접적인 후원보다는 ‘트럼프 재선이 기업 친화적일 것’이라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가 친환경 산업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테슬라보다는 GM, 포드 같은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를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2) 트럼프와 머스크의 정책적 공조

만약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머스크는 테슬라와 스페이스X가 정부 계약 및 산업 정책에서 더욱 큰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트럼프는 재선 공약으로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기업 규제 완화'를 내세우고 있어, 머스크의 사업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3) 머스크의 정치적 영향력 강화

머스크는 단순한 사업가를 넘어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는 ‘X’(구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치적 목소리를 더욱 키우고 있다.


3. 트럼프 당선 시 테슬라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이 된다면, 테슬라는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1) 감세 및 규제 완화 혜택

트럼프는 기업 규제 완화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테슬라의 R&D 투자와 공장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기업 감세 정책이 다시 시행될 경우, 테슬라의 순이익 증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2) 미국 내 공장 확장 및 투자 기회 증가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제조업 부흥을 강조하고 있다. 테슬라는 이미 미국 내 여러 공장을 운영 중이며, 추가적인 정부 지원이 있을 경우 생산능력을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3) 전기차 정책 변화

트럼프는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과는 다른 방향을 취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테슬라의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4. 테슬라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한국 기업들

테슬라가 미국 내에서 사업을 확장하거나 전기차 시장에서 더 큰 성과를 거둘 경우, 한국 기업들도 여러 분야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다.

1) 배터리 관련 기업

  •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의 배터리 공급업체로서, 트럼프 행정부에서 전기차 시장이 더욱 성장하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 삼성SDI: 테슬라의 신규 모델 배터리 공급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 내 공장 증설 시 공급 계약 확대 기대.
  • SK온: 테슬라의 배터리 공급망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국 공장 투자 증가로 인해 수혜 가능성 높음.

2) 자동차 부품 및 전장기업

  • 현대모비스: 테슬라를 포함한 전기차 시장 확대 시 전장 부품 수요 증가.
  • 삼성전기: 전기차에 들어가는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공급 증가 가능성.
  • 비에이치(BH): 테슬라의 전장 부품 및 배터리 관련 부품을 공급할 가능성이 있음.

3) 자율주행 및 AI 관련 기업

  • 네이버, 카카오: 테슬라의 FSD(완전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면서 한국의 AI 관련 기업들도 자율주행 시장에서 기회를 가질 수 있음.
  • 아이티엠반도체: 전기차 및 AI 시스템에서 전력관리반도체(PMIC) 관련 공급망 확대 가능성.

4)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테슬라의 AI 및 자율주행 시스템이 고성능 반도체를 필요로 하면서 관련 공급망 확대 기대.
  • LX세미콘: 테슬라의 디스플레이 관련 반도체 공급 가능성.

결론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의 친기업적인 정책과 규제 완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를 지지하고 있다. 만약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테슬라는 감세, 규제 완화, 미국 내 공장 증설 등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테슬라와 협력하는 한국의 배터리, 반도체, 전장 부품 업체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